Prometheus & Grafana 실습하기!

역시 고성능, 고사양의 환경이 중요함을 또 느낀다 ㅠㅠ

이번에 청구된 AWS 청구서를 보면 과연 클라우드 서비스가 좋은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든다. 일단 큰 장비를 마련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마련해서 내 맘대로 장비를 사용할 수 있고 비용에 대한 부담은 전혀 없을 터인데말이다.

결국에는 모르고 사용하면 요금폭탄을 맞게 될거라는.. 뭐든지 알고 써야 한다. 사용한 것에 대한 책임은 나에게 있으니 말이다.

강의를 한 번 들어서는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들기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. 그래도 데일리 미션을 매일 해야겠지!!

내 옆에 같이 공부하는 동료가 있다면 너무나도 좋겠다 ㅠ 다음에 패스트캠퍼스에서 챌린지 모집을 할 때에는 동료도 엮어주면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. 요즘에는 코로나19 시국이여서 스터디 모임에 나가기도 조심스러우니 온라인 상의 활동으로 동기부여를 해주면 호응이 있지 않을까.

그러면 다음에 새로운 강의에 데일리 미션에 또 도전하고 싶다!! 저와 같은 생각을 하는 분 어디에 계시나요?!

스터디 동료를 모아서 같이 나아가려면 모두가 초보자면 대략 난감할 테니, 일단 내가 어느 정도 기본기는 갖춘 상태에서 참여해야 한다는 게 단점일 수도 있겠다.. 프리라이더는 금지! 내가 다른 사람에게 가르칠 수 있는 수준이 될 수 있도록 오늘도 나아간다!

 

Prerequisites

  • k8s (쿠버네티스) 환경: minikube v1.22.0
  • helm binary: helm v3

 

설치하기

  • minikube(사양에서 눈물이 난다 ㅠㅠㅠ): minikube start --driver=docker --cpus='4' --memory='4g'
  • kube-prometheus-stack Helm Repo 추가
  • kube-prometheus-stack 설치

 

어떻게 사용하지?

  • 포트포워딩: 새로운 터미널을 열어 포트포워딩
    • Grafana 서비스: kubectl port-forward svc/prom-stack-grafana 9000:80
    • Prometheus 서비스: kubectl port-forward svc/prom-stack-kube-prometheus-prometheus 9091:9090
  • Prometheus UI Login
  • Grafana UI Login
    • localhost:9000 으로 접속
    • 디폴트 접속 정보
    • Configuration - Data sources 탭 클릭: Prometheus 가 default 로 등록되어 있음
    • Dashboards - Manage 탭 클릭: 다양한 대시보드가 default 로 등록되어 있음

 


본 포스팅은 패스트캠퍼스 환급 챌린지 참여를 위해 작성되었습니다.
패스트캠퍼스 바로가기: https://bit.ly/37BpXiC

 

+ Recent posts